맨위로가기

프리모시 코즈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모시 코즈무스는 슬로베니아의 은퇴한 해머던지기 선수이다. 1996년에 주니어 기록을 세우며 두각을 나타냈고,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 처음 출전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금메달, 2009년 베를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슬로베니아 육상 선수 최초로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를 모두 우승했다. 2011년 대구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보메스토 출신 - 유레 발코베츠
    유레 발코베츠는 슬로베니아의 축구 선수로 NK 돔잘레에서 프로 데뷔 후 SSC 바리, 엘라스 베로나 FC, 파티흐 카라귐뤼크 SK, 알라니아스포르를 거쳐 중앙 수비수로 활약하며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 슬로베니아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크리스티안 체흐
  • 슬로베니아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브리기타 부코베츠
    브리기타 부코베츠는 슬로베니아의 100m 허들 육상 선수로, 애틀랜타 올림픽 은메달,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동메달,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슬로베니아 올해의 여성 스포츠 선수 및 올해의 여성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프리모시 코즈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선수 정보
2012년의 프리모시 코즈무스
2012년의 프리모시 코즈무스
본명프리모시 코즈무스
별칭알려진 바 없음
국적슬로베니아
출생일1979년 9월 30일
출생지유고슬라비아 SR 슬로베니아 노보메스토
거주지브레지체, 슬로베니아
은퇴 여부
사망일알려진 바 없음
사망지알려진 바 없음
1.88m
몸무게106kg
스포츠 정보
종목육상
세부 종목해머던지기
소속 클럽AK 브레지체
코치프리모시 체트르티치
개인 최고 기록 (해머던지기)82.58m (2009년)
올림픽 메달
2008 베이징금메달 (해머던지기)
2012 런던은메달 (해머던지기)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2009 베를린금메달 (해머던지기)
2007 오사카은메달 (해머던지기)
2011 대구동메달 (해머던지기)
세계 군인 체육 대회 메달
2007 하이데라바드금메달 (해머던지기)

2. 경력

노보메스토 출신으로 1996년에 슬로베니아 해머던지기 남자 주니어 기록을 세우면서 주목을 받았다. 이듬해인인 1997년에는 슬로베니아 해머던지기 종목 주니어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1998년에는 슬로베니아 국가대표가 되었으며 그 해 6월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유러피언컵을 통해 슬로베니아 성인 국가대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코즈무스는 이 대회에서 64.40m를 기록하여 7위에 올랐다. 2000년에는 시드니에서 열린 200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면서 선수 경력 첫 올림픽에 출전했다. 그는 예선에서 38위를 기록했다. 2003년 8월에는 파리에서 열린 200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79.68m의 기록으로 5위에 올랐다.

2007년 8월 오사카에서 열린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82.29m의 기록으로 벨라루스이반 치한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9월에는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월드 애슬레틱스 파이널 대회에서 6위에 올랐다. 10월에는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열린 2007년 세계 군인 체육 대회에서 75.98m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 8월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82.02m의 기록으로 벨라루스의 바딤 데뱌톱스키와 치한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듬해인 2009년 8월에는 베를린에서 열린 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폴란드시몬 지우코프스키러시아의 알렉세이 자고르니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코즈무스는 슬로베니아 육상 선수 최초로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선수가 되었고 현재까지 해당 기록을 보유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같은 해 9월 첼레에서 열린 슬로베니아 육상 그랑프리 대회에서 82.58m를 기록하면서 우승과 동시에 슬로베니아 국가 기록을 갱신했다. 이후 10월 현역 은퇴를 선언했으나 이듬해인 2010년 10월 25일에 복귀를 선언했다.

2011년 5월에 현역으로 복귀한 그는 오스트라바에서 열린 골든 스파이크 대회에서 우승했고 8월에 대구에서 열린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그는 사전 인터뷰에서 결승에 진출하여 8위 안에 드는 것을 목표로 밝혔고 79.39m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8월에는 런던에서 열린 2012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79.36m의 기록으로 헝가리퍼르시 크리스티안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2014년 9월 류블랴나에서 열린 발칸 국가대항전 대회에서 우승을 한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2. 1. 초창기 경력

노보메스토 출신으로 1996년에 슬로베니아 해머던지기 남자 주니어 기록을 세우면서 주목을 받았다. 이듬해인인 1997년에는 슬로베니아 해머던지기 종목 주니어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1998년에는 슬로베니아 국가대표가 되었으며 그 해 6월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유러피언컵을 통해 슬로베니아 성인 국가대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코즈무스는 이 대회에서 64.40m를 기록하여 7위에 올랐다. 2000년에는 시드니에서 열린 200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면서 선수 경력 첫 올림픽에 출전했다. 그는 예선에서 38위를 기록했다. 2003년 8월에는 파리에서 열린 200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79.68m의 기록으로 5위에 올랐다.

2007년 8월 오사카에서 열린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82.29m의 기록으로 벨라루스이반 치한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9월에는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월드 애슬레틱스 파이널 대회에서 6위에 올랐다. 10월에는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열린 2007년 세계 군인 체육 대회에서 75.98m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 8월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82.02m의 기록으로 벨라루스의 바딤 데뱌톱스키와 치한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듬해인 2009년 8월에는 베를린에서 열린 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폴란드시몬 지우코프스키러시아의 알렉세이 자고르니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코즈무스는 슬로베니아 육상 선수 최초로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선수가 되었고 현재까지 해당 기록을 보유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같은 해 9월 첼레에서 열린 슬로베니아 육상 그랑프리 대회에서 82.58m를 기록하면서 우승과 동시에 슬로베니아 국가 기록을 갱신했다. 이후 2010년 10월 25일에 복귀를 선언했다.

2011년 5월에 현역으로 복귀한 그는 오스트라바에서 열린 골든 스파이크 대회에서 우승했고 8월에 대구에서 열린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그는 사전 인터뷰에서 결승에 진출하여 8위 안에 드는 것을 목표로 밝혔고 79.39m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8월에는 런던에서 열린 2012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79.36m의 기록으로 헝가리퍼르시 크리스티안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2014년 9월 류블랴나에서 열린 발칸 국가대항전 대회에서 우승을 한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2. 2.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활약

노보메스토 출신인 코즈무스는 1998년에 슬로베니아 국가대표로 발탁되었으며, 200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면서 첫 올림픽 무대를 밟았다. 예선에서 38위를 기록했다.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79.68m의 기록으로 5위에 올랐다.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82.29m의 기록으로 이반 치한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82.02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슬로베니아 육상 선수 최초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듬해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여 슬로베니아 육상 선수 최초로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

2009년 10월 현역 은퇴를 선언했으나, 2010년 10월 25일에 복귀를 선언했다. 복귀 후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 3. 은퇴와 복귀, 그리고 다시 은퇴

노보메스토 출신으로 1996년에 슬로베니아 해머던지기 남자 주니어 기록을 세우면서 주목을 받았다. 이듬해인인 1997년에는 슬로베니아 해머던지기 종목 주니어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1998년에는 슬로베니아 국가대표가 되었으며 그 해 6월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유러피언컵을 통해 슬로베니아 성인 국가대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코즈무스는 이 대회에서 64.40m를 기록하여 7위에 올랐다.

2009년 8월 베를린에서 열린 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후 같은 해 10월 현역 은퇴를 선언했으나 이듬해인 2010년 10월 25일에 복귀를 선언했다. 2011년 5월에 현역으로 복귀한 그는 오스트라바에서 열린 골든 스파이크 대회에서 우승했고 8월에 대구에서 열린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후 2014년 9월 류블랴나에서 열린 발칸 국가대항전 대회에서 우승을 한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주요 성적

연도대회개최지순위기록
1997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류블랴나, 슬로베니아22위 (예선)58.14 m
1999유럽 U23 선수권 대회예테보리, 스웨덴12위66.11 m
2000올림픽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38위 (예선)68.83 m
2001유럽 U23 선수권 대회암스테르담, 네덜란드15위 (예선)68.11 m
지중해 게임튀니스, 튀니지4위71.12 m
2002유럽 선수권 대회뮌헨, 독일25위 (예선)72.60 m
2003세계 선수권 대회파리, 프랑스5위79.68 m
세계 육상 파이널솜버트헤이, 헝가리6위78.59 m
2004올림픽아테네, 그리스5위78.56 m
세계 육상 파이널솜버트헤이, 헝가리4위77.21 m
2006유럽 선수권 대회예테보리, 스웨덴7위78.18 m
세계 육상 파이널슈투트가르트, 독일8위76.39 m
2007세계 선수권 대회오사카, 일본2위82.29 m
세계 육상 파이널슈투트가르트, 독일6위76.78 m
2008올림픽베이징, 중국1위82.02 m
2009세계 선수권 대회베를린, 독일1위80.84 m
세계 육상 파이널테살로니키, 그리스1위79.80 m
2011세계 선수권 대회대구, 대한민국3위79.39 m
2012올림픽런던, 영국2위79.36 m
2013세계 선수권 대회모스크바, 러시아4위79.22 m
2014유럽 선수권 대회취리히, 스위스6위77.46 m


4. 개인 최고 기록


  • 해머던지기 - 82.58m (2009년)

참조

[1] 뉴스 Video: Kozmus olimpijski prvak! http://www.rtvslo.si[...] Radiotelevizija Slovenija 2009-10-08
[2] 웹사이트 Šokantna Kozmusova odločitev: Najboljši slovenski športnik se je odločil za prekinitev kariere http://www.dnevnik.s[...] Dnevnik 2009-10-08
[3] 웹사이트 Primož Kozmus: Vračam se http://www.siol.net/[...] 2010-10-25
[4] 웹사이트 Foto/Video: Kozmus malo govoril, toda ogromno storil http://www.rtvslo.si[...]
[5] 웹사이트 London 2012 - Athletics - Men's Hammer http://www.olympic.o[...] IOC 2014-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